생활영어115 to the point : 요점만 말해서 오늘 배워볼 표현은 “to the point” 입니다. 말 그대로 “(어느) 지점까지”의 의미도 있지만 (이런 경우 뒤에 ‘where..’를 써서 그 지점을 부연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oint’가 요점의 의미도 있으므로 아래 그림처럼 어느 지점(요점)까지 바로 가는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는데요. 즉, 요점까지 바로 가서 “간단명료한”, “간결한”이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그래서 “요점만 말해(말하자면)”라고 말하고 싶다면 “get(/come) to the point”라고 쓸 수 있는 거죠. 찾아 보니 이외에도 “to the point”의 쓰임새가 정말 다양한데 아래 간단히 정리 해 보았으니 참고하세요. to the point : 간결한, 분명한 more to the point : 무엇보다,.. 2022. 12. 13. figure out VS find out “figure out”과 “find out”은 “알아내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들 중에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를 알아 보려고 합니다. 먼저 ‘figure’라는 단어는 피겨 스케이팅이나 액션 피규어 할 때 그 ‘figure’에요. 좀 친숙하시죠? 이 단어는 라틴어에서 기원한 단어로 사람이나 사물의 독특한 모양을 뜻하는데요. 그 중에는 숫자나 기호도 포함되어 있겠죠? 그래서 이 ‘figure’라는 단어에는 ‘수치’, ‘숫자’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사로 활용될 때는 ‘계산하다’라는 뜻도 있어요. 이렇게 계산되어진(figure) 답을 밖(out)으로 끄집어 내다. 즉, “알아내다”라는 뜻으로 “figure out”이 쓰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find out”과.. 2022. 12. 12. have you ever~? /did you ever~? : ~한 적 있나요?, ~해본 적 있나요? “have you ever + 과거분사(p∙p) ~?”그리고 “did you ever + 동사(v) ~?” 둘 모두 이미 아는 표현이시죠? 하지만 둘 사이에 아주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고 계시나요? 둘 다 “~한적 있나요?”, “해본 적 있나요?” 라고 해석되는 표현이지만 “have you ever~?”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에 대해 묻는 것이라면 “did you ever~?”는 과거 특정 시간에 일어난 일을 묻는 경우가 많고 이렇게 말하면 (적어도 미국에서는) 질문범위를 좁히기 위해 설명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또 상황에 따라 어떤 것을 해보긴 했었는지 확인의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추가로 “do you ever + 동사(V)”는 “~하긴 해?”라는 의미로 (평소 생활을 .. 2022. 12. 9. keep (something) brief : 간단히 말하다. 오늘 배워볼 표현은 발표 혹은 회의시간에 유용한 표현인 “keep (something) brief” 입니다. “keep (something) brief” 는 “(무언가를) 간결하게 하다”, “짧게 하다.” 의 의미를 가지는데요. 주로 질문이나 답변, 코멘트, 발표하는 상황에서 짧게 말한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 됩니다. 처음 이 표현을 ‘I will keep my presentation brief’ 라는 문장에서 들었을 때 ‘keep’이라는 단어가 지키다, 유지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고 또, “brief”라는 단어를 들으면 간단한 요약 등의 명사로서의 뜻만 떠올라서 원래의미와 반대로 'presentation을 계속하다'라고 오역 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사실 “brief”는 “간단한 설명”, “요약” 등의 뜻 .. 2022. 12. 8. 이전 1 ··· 25 26 27 28 29 다음